요즘은 회사의 주식을 사는 것을 넘어 음악의 저작권도 개인이 사는 시대가 되었습니다. 정말 신기한 세상입니다.
구체적으론 음악의 저작권료참여청구권을 거래할 수 있습니다. 이건 뮤직카우란 플랫폼에서 거래할 수 있습니다.
음악을 일종의 주식처럼 사고팔 수 있게 하였습니다.
TV, 유튜브를 통해 광고를 한번쯤은 보셨을 거라 생각하지만,, 안보신 분이 있다면 이해를 위해 일단 뮤직카우 광고 한편 보고 가시죠~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yGxOxwvJ_j8&ab_channel=%EB%AE%A4%EC%A7%81%EC%B9%B4%EC%9A%B0
자, 다시 글로 돌아와서,,
- 그럼 어떻게 개인이 사고팔게끔 한 걸까요?
→ 뮤직카우는 저작권을 이용허락을 할 권한 / 그에 따른 수익을 받을 권한으로 나눠 수익을 받을 권한을 저작권료참여청구권이란 형태로 쪼개 유저들끼리 사고팔 수 있게 하였습니다. 그 대신 저작권의 이용허락 권한은 없는거죠. 아래를 참고해주세요.
이제 어떻게 하는지 알았으니, 모바일 어플 혹은 홈페이지를 들어가 봅시다. (https://www.musicow.com/)
전 모바일 어플로 들어가보겠습니다.
들어가니 다음과 같은 이벤트를 합니다. ( ~ 09.30 (목))
0. 기간 및 대상 : 2021. 09. 06 (월) ~ 09.30 (목), 신규가입 회원 (생애 첫 가입) 대상 1. 2021.09.27 기준 만원 이상 충전시, 10.1 (금) 에 보너스 3,000 캐시 추가 지급됩니다. 2. 가입 당일 10만원 이상 거래 (구매 + 판매) 시, 보너스 10,000 캐시 지급됩니다. ** 10만원 넘게 충전하고 10만원 이상 구매하는게 제일 나을 것 같네요. |
관심 있으신 분들께선 미리 시작하시는게 조금 이득이 될 그런 이벤트 인 것 같습니다.
따로 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저작권료참여청구권 (저작권) 매매를 제외하곤 곡 검색, 옥션, 마켓등 어플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.
오늘의 저작권 지수, MCPI (Music Copyright Property Index ) 지수 라는게 눈에 띄네요. KOSPI 지수와 비슷한 개념으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. 코스콤과 협의하여 개발된 지수라고 하네요.
** 코스콤은 국내 거래소 시장의 전산시스템을 개발 / 운용하는 회사 입니다.
** 코스콤의 역할을 보다 더 알고 싶다면 '웹툰으로 본 코스콤 사업' 페이지 추천드립니다.
https://www.koscom.co.kr/portal/bbs/B0000022/list.do?menuNo=200319
웹툰으로 본 코스콤 사업(목록)<사업분야<koscom< p=""> </koscom<>
www.koscom.co.kr
2019.01.01 부터 시작해서 지금까지 시세 추이를 보면 2020년엔 내내 횡보하다가 올해들어 상승하는 움직임을 보여주네요. 앞으로 계속 상승할지는 지켜봐야 겠습니다.
화면을 좀 더 내리면 음악들의 가격이 보이는데 앞에 인 이라고 붙은 음악들이 보입니다.
이건 뭘까요?
앞에 아무것도 없는 음악 : 저작재산권
→ 창작자 (작곡가, 작사가, 편곡자) 가 가지는 혹은 그로부터 저작권을 양도, 승계받은자가 가지는 권리
앞에 '인' 이 붙은 음악 : 저작인접권
→ 저작인접권자 (가수, 프로듀서) 가 가지는 권리. (완성된 저작물을 해석하고 전달하여 소비자들이 향유하도록 하는 사람들)
뮤직카우에 의하면 이 둘은 수익을 내는데는 큰 차이가 없으나, 저작재산권은 원저작자 사후 70년 보호,
저작인접권료는 음반발매일 다음해부터 70년간 보호. 여서 저작인접권료 지분의 경우 저작권료 정산기간이 조금 짧을 수 있다 하네요.
사실 10년도 보유하기 힘들텐데 70년 까지 생각하는건 너무 먼 미래가 아닌가.. 싶긴 합니다. 옛날음악을 보유하셨을 경우, 조금 주의를 해야겠네요. (예를 들면,, 1970년대 음악이라던가...?)
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.
저작재산권 | 저작인접권 | |
권리자 | 창작자 (작곡가, 작사가, 편곡자) | 저작인접권자 (가수, 프로듀서 등...) |
보호기간 | 원저작자 사후 70년 | 음반 |
사이트에 투자관련 전략, 관련 유튜브 채널링크도 있습니다.
추후 자세히 보고 정리를 한번 해두면 좋을 것 같단 생각이 드네요.
이제 실제로 매매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뮤직카우는 장 시작 / 마감 시간이 없습니다. 원하는 시간대에 매매하시면 됩니다.
곡을 검색해서 곡을 클릭하거나 혹은 첫화면에서 곡을 클릭하시면 곡에 대한 정보가 뜹니다.
차트와 거래량, 곡정보가 뜨는 걸 알 수 있습니다.
차트와 거래량은 주식의 개념과 비슷하지만 곡정보는 생소하네요.
곡정보는 저작권료가 어디서 나오는지 알려주는 정보이며, 각 칸의 의미는 아래와 같습니다.
여기서 각 빨강글씨 버튼들 (현재가, 차트보기, 곡정보보기) 을 클릭하면 세부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.
현재가를 누르면 주식처럼 저작권을 거래할 수 있는 창이 뜹니다.
특이한 점은, 한번에 5주이상 매매시 수수료 1.0%, 그 외 수수료 1.3% 입니다.
매수 / 매도는 최소 1회씩은 할거기 때문에 수수료는 2.6% 정도라고 생각하심 되겠습니다.
그 다음, 곡정보 탭 입니다. 내리다보면 저작권료 추이와 구성을 알 수 있습니다.
이를 통해 점점 인기가 올라가는지 내려가는지. 또 장기간 추이가 유지될 수 있을지 예상 할 수 있을 것 같네요.
저도 18만원을 충전하여 2곡을 각각 1주씩 매매해보았습니다.
지아 - 술한잔해요 , 허각 - 나를 사랑했던 사람아 입니다.
둘 다 저작권 구조 지분 중 공연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최근 5개년 저작권료 추이가 크게 변하지 않는 것 같아
매수해보았습니다.
이제 뮤직카우를 먼저 매매했던 분들의 영상이나 칼럼 같은걸 보고 좋은 곡 찾는 법 분석 같은걸 공부하여 1달 매매 후기로 돌아오겠습니다.
** 그 외 느낀점은..
1. 곡을 검색하기 어렵다. 모든 곡들이 등록되어 있지 않아 내가 찾는 곡이 없는 경우도 꽤 많다. 2. 매물 / 거래량이 상당히 적다. 주식처럼 단타를 칠 수 있는 플랫폼은 아닌듯 하다. (거래량이 많은 곡들을 살펴봐도 많아야 1만 정도?) 좀 더 다이나믹함을 원한다면 주식이나 코인이 더 나을지도 모른다. 3. 저평가된 주식을 찾는 개념으로 앞으로 역주행할 음악을 찾아야 하는데 음악의 경우 기업처럼 영업이익 같은 지표가 없어 감이 잘 안온다. |
'발버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발버둥치는 앱테크 - 캐시슬라이드 스텝업 3달차 (D+60 ~ ) , 수익금 변화는? (0) | 2021.10.30 |
---|---|
카카오페이 공모주 - 공모 정보부터 카카오페이 실사용 후기까지~ (0) | 2021.10.15 |
카카오페이 할로윈 알 이벤트 - 페이 머니 좀 더 챙겨가세요 ~ (0) | 2021.10.14 |
필사적으로 쥐어짜는 앱테크 - 캐시슬라이드 스텝업! 미션적립 모두 해본 후기 (0) | 2021.10.05 |
마른걸레 쥐어짜는 앱테크 - 캐시슬라이드 스텝업! 1달 사용 후기 및 7,000원 받고 현금화! (0) | 2021.09.28 |